게으른 완벽주의자의 개발자 도전기
jsp 기초 정리하기(jsp-> jsp 데이터전달, a태그, form태그) 본문
jsp는 html 기반으로 자바를 받기 때문에 html 만들었던 장소인 webapp에서 new -> JSP file을 만든다.
오늘은 jsp에서 jsp로 데이터를 넘기는 방법을 공부했다.
jsp 파일로 넘길때는 확장자명이 꼭 name.jsp 처럼 끝에 꼭 .jsp 확장자명을 적어줘야 한다.
적지 않고 실행할 경우 servlet파일이 열린다.
html 게시글에 a태그를 이용해서 주소를 작성하면 상단 주소창에 무슨 데이터를 전송하는지 파악 가능하다고 했다.
<a href="a_test2.jsp?name=java&age=20">a_test2.jsp로 이동</a>
(a_test2.jsp로 이동할 때 ("?" 뒤에는 전달할 데이터) name과 age라는 이름의 데이터를 전달하겠다 )
(데이터 하나 더 추가하고 싶을 때는 & 데이터 추가)
그래서 비밀번호와 같은 보안 정보는 form태그를 이용하는것이 좋다.
폼태그를 이용하면 주소창에 무슨데이터가 가는지 확인 불가하기 때문이다.
method에 get을 넣으면 a태그처럼 주소창에 무슨데이터를 넣었는지 확인 가능하다.
디폴트 값으로 method="post"라고 생각하자!!
jsp파일에서 a_test2.jsp파일로 아래와 같은 데이터를 보내고자 한다.
<form action="a_test2.jsp" method="post">
ID: <input type="text" name="id"><br>
PASSWARD: <input type="password" name="pw"><br>
이름 : <input type="text" name="name"><br>
나이 : <input type="text" name="age"><br>
<input type="submit" value="로그인"><br>
</form>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무슨 데이터를 넣었는지 확인 불가하다.
jsp에서전달받은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고자 한다면 아래와 같이 작성하면 된다.
${param. name으로 정한 속성이름}
${param.name}
${param.age}
(화면 구현할 때는 반드시 한글깨짐 방지 코드를 가장 첫줄에 넣어주는거 잊지 말아야 한다!>
'servlet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톰캣에서 taglibs 4가지 다운 받기 (0) | 2022.07.24 |
---|---|
jsp 정리하기2(jsp-> jsp-> jsp 로 데이터 받기) (0) | 2022.07.23 |
jsp 정리하기1(jsp-> jsp 뒤로가기 버튼으로 첫페이지 이동)location, history.back 활용 (0) | 2022.07.23 |
servlet 정리하기(한글깨짐 방지 소스, servlet 기초 실행(html에서 servlet으로 데이터 넘기기) (0) | 2022.07.23 |
servlet 개념정리하기 (0) | 2022.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