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03)
게으른 완벽주의자의 개발자 도전기

jsp는 html 기반으로 자바를 받기 때문에 html 만들었던 장소인 webapp에서 new -> JSP file을 만든다. 오늘은 jsp에서 jsp로 데이터를 넘기는 방법을 공부했다. jsp 파일로 넘길때는 확장자명이 꼭 name.jsp 처럼 끝에 꼭 .jsp 확장자명을 적어줘야 한다. 적지 않고 실행할 경우 servlet파일이 열린다. html 게시글에 a태그를 이용해서 주소를 작성하면 상단 주소창에 무슨 데이터를 전송하는지 파악 가능하다고 했다. a_test2.jsp로 이동 (a_test2.jsp로 이동할 때 ("?" 뒤에는 전달할 데이터) name과 age라는 이름의 데이터를 전달하겠다 ) (데이터 하나 더 추가하고 싶을 때는 & 데이터 추가) 그래서 비밀번호와 같은 보안 정보는 form태그를 ..

servlet이나 jsp는 한국 출신이 아니니까 한글을 넣으면 깨지기 마련이다. 그래서 바탕화면 메모페이지에 추가해서 복붙해서 쓰는거 추천이다. 나는 post를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post 밑에 넣어 두었다. request.setCharacterEncoding("UTF-8");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charset=UTF-8"); 위치는 페이지 제일 상단에 매번 추가하는거 잊으면 안된다! 학생의 이름, 국어, 영어 점수를 입력받을 수 있게 화면을 구성하고, 정보를 입력 받은 후 전송이라는 버튼 클릭하면 Student라는 servlet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입력받은 세 정보를 가지고 이동해야 한다. 입력받은 정보를 전달 받았다면 전달받은 학생의 이름, 영어점수, 수학..

쌤이 servlet 이랑 jsp는 스프링때매 잘 쓰지 않는다고 한다. 그런데도 배우는 이유는 두개를 이해하고 가지 않으면 스프링이 이해가 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스프링 넌 도대체 어떤애길래... 벌써 무섭다. servlet은 자바기반이기 때문에 파일 만드는 위치는 Dynamic프로젝트 생성 -> 펼쳐서 Java Resources -> scr/main/java 여기에서 파일 생성 해야한다! (물론 파일만들 때도 자바 기반이니까 파일 이름에 첫글자 대문자 써주는 센스!!) webapp 상단에도 java라는 이름의 폴더가 있어서 착각하는 경우가 많으니 꼭 신경쓰기!! servlet: 자바기반 html 코드를 추가할 수 있도록 만든 클래스 -> HttpServlet이라는 클래스를 상속해서 만든 모든 클래스..

html css 시작한 이래로 나는 느낀게 있다. 내가 디자인엔 정말 취약하구나... 디자인 하시는 분들 정말 리스펙합니다! 1. 태그 이름에서 느껴지듯 데이터를 집어넣는 태그이다. jsp에서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input 태그에서는 name 태그, 특히 check box, radio, button, submit에는 value태그(선택했을 때 나오는 속성값) 추가하는것 잊지 말아야 한다! 홈 태그(데이터 입력받기) (value를넣으면 실제로 값을 받는다.) (안내문구를 넣어주는 것이 된다.) 운동 독서 동의 (checked= "checked" 이지만 같은 내용은 한 번 입력해도 무방하며, 의미는 동의 비동의 중 동의에 무조건 체크표시 되어 있게 만드는 것) 비동의 (여러가지 중 하나 선택하는 것) C+..

요즘 자바랑 html를 배우면서 고등학생때 했던 과목들이 떠올랐다. 문과였던 나에게 자바는 이해하면 쫙쫙 풀리는데 이해가 어려운 한국지리 세계지리 느낌이라면 html css는 윤리 한국사처럼 암기과목 느낌이 난다. 새로운거 실행시킬때 마다 창을 눌러서 설정해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Always use this server 여기 부분에 체크하면 편하게 사용 가능하다! 1. 테이블(table) body 안에 table을 만든다. table 태그도 마찬가지로 시작이 있으면 /table 이 있다. 기본 테이블 형식은 아래와 같다. 테이블 만들기 테이블의 행 시작 테이블의 열 시작 테이블의 열 끝 테이블의 행 끝 1) 행과 열 테이블에서 tr:행, td:열을 나타낸다. 이 태그도 시작이 있음 /끝 태그가 있다는..

7월 18일 오전에 첫시험을 치고 오후 수업부터는 html css 부분 수업이 진행되었다. html css는 기존에 쓰던 오라클에서 진행한다. 그리고 WAS로 아파치 톰캣 8.5를 쓴다. 그리고 UTF-8로 세팅! 설정을 다시 세팅하고 Project Explorer 뷰에서 마우스 오른쪽 new -> Dynamic web project를 눌러서 프로젝트를 만들고 scr -> webapp에서 new -> html file을 만든다!! java떄와 다르게 소문자로 파일 만듦! java때와 동일하게 실행할 때도 ctrl F11을 누르면 실행이 되는데 나는 크롬을 기본으로 설정했다. (Daynamic project는 다른 폴더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만들기 가능하다. 이것도 모르고 처음에 헤맸다.) 쌤이 WAS(W..